기독교가 전래되기 이전부터 우리 조상들은 자연과 신을 경외하며 기도를 드렸습니다.
물을 떠놓고 달에게 기원하는 풍습은 전국적으로 존재했으며, 각 지역과 문화에 따라 하늘님, 한울님, 일월성신, 천지신명, 옥황상제, 산신님, 용왕님 등 다양한 신들의 이름이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이러한 신앙은 궁극적으로 ‘천신(天神)’을 향한 기도였습니다.
무당의 역할과 굿의 본래 의미
전통적으로 무당은 마을의 종교적 지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굿’은 단순한 주술 행위가 아니라 마을 전체가 함께 풍년과 평온을 기원하는 축제였습니다.
제의가 끝난 후, 공동체는 음식을 나누며 함께 기쁨을 나누었습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굿판에 ‘내림굿’이 포함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본래 전통에 없던 개념으로, 일부 사이비 무당들이 경제적 이득을 위해 만들어낸 행위입니다.
신은 사람이 내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늘이 내리는 존재이기에, 인간이 이를 조작할 수는 없습니다.
무속신앙의 본질과 현대적 가치
무당은 단순한 주술사가 아니라 공동체의 조력자로서 존재해왔습니다.
때로는 의사로, 과학자로, 영매로, 신관으로서 마을을 이끄는 지혜로운 존재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몸이 허약하거나 신병으로 운신에 어려움을 겪는 무당이라도 마을 지도자들은 그들을 존중하였고 마을유지를 위해 필요한 존재로 대접하였습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이러한 전통적 역할이 점차 사라지고, ‘무형문화재’로서의 굿판만 남아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전통 보존은 중요하지만, 일부 무당들이 내림굿을 이용해 경제적 착취를 일삼는 현상은 문제입니다.
이러한 행태가 지속되면서 무당은 신성한 존재가 아니라 단순한 ‘영업 사기꾼’으로 취급받게 되었습니다.
무속신앙이 여전히 우리를 끌어당기는 이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무속신앙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우리의 DNA 속에 이 문화가 깊이 각인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무속신앙은 절대자에게 간절히 기도하고 복을 비는 가장 단순하면서도 명쾌한 신앙 체계를 제공합니다.
모든 사람에게 신앙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어떤 이들에게는 서양 종교보다 우리의 전통 신앙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신앙이기 때문입니다.
올바른 무속신앙의 정립을 위한 희망
앞으로 사이비 무당들이 사라지고, 올바른 무속이 정식 종교로 자리 잡는 시대가 오기를 바랍니다.
절을 가듯, 교회를 가듯 신당을 찾아가 공수를 받고, 가정에서 천신께 기도하는 문화가 자리 잡기를 기대합니다.
저 역시 올바른 신앙을 지키며, 정직한 방법으로 살아가고자 노력하겠습니다.
무속신앙이 바른 길로 발전하여 우리 문화의 중요한 일부로 자리 잡기를 희망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